몽타주를 보고나서 스토리 허술한 점을 짚어보면...
기대 이상의 반전과 몰입력 있는 스토리로 보는 내내 사로잡았던 영화 몽타주 리뷰.
(스포일러 주의)
15년전 유아납치살해사건의 공소시효가 만료되기 직전, 사건 현장에 범인으로 추정되는 자가 꽃 한송이를 놓고 감으로 포기했던 사건의 실마리가 다시 수면위로 떠오른다. 열심히 단서를 추적해보지만 눈앞에서 용의자를 놓쳐버리고 결국 끝나는 공소시효.
아.. 놓치는 장면 사실 말도안되고 개답답했다. ㅡ,.ㅡ;;;
형사 둘이 호구도 아니고 15년 벼르던 용의자를 무슨 그렇게 어이없게.... 그리고 나중에 밝혀진 범인의 나이를 생각해본다면 못잡을리가 없잖어.
피해자 어린이의 엄마로 나오는 엄정화는 딸을 잃고 정신이 피폐해져온 유가족 캐릭터를 영화 초반부터 잘 표현한다. 덕분에 시작부터 끝까지 몰입도를 끌어올리는 요소가 되는데, 이제는 완전한 연기파배우인 엄정화는 황정민 정도의 영화흥행 보증수표가 되지 않았나 싶다.
김상경은 그 사건의 후유증 때문인지 형사일을 그만두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얼마후 범인은 같은 수법으로 또다른 평온한 가정의 한 어린아이를 납치한 후 돈을 요구하는데... 심지어 과거 15년전 사용했던 수법과 동일한 방식에 좀더 치밀하게 업그레이드 된 방식으로 경찰을 가지고 노는 범인.
여기서 한가지 의아했던 것은, 15년동안 공소시효가 끝나기만을 기다려던 범인이 만료되자마자 바로 같은 수법으로 다시 범행을 저지른다?? 뭔가 이상한 부분이다.
그런 놈이라면 잡힐까 무서워 공소시효 기다리지 않고 진작에 연쇄범행을 저지르지 않았을까 싶었다. 동일한 범행방식으로 보면 과거 그 범인이 맞는데, 공소시효 기다려온 놈이 끝나자마자 다시 범행을 저지르는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
물론 여기서 위화감을 느끼고 추리를 했다면 김상경이 코난이겠지만 꿈에도 그리던 그놈이 다시 나타났다고 생각하고 흥분해서 잡으려 달려들게 되는 것이 사람의 심리. 영화는 현재의 상황과 김상경이 15년전 당시의 범죄를 회상하는 부분을 번갈아 보여주며 긴장감있는 전개를 이어나간다.
(다시한번 스포일러 주의 ↓)
손녀딸 봄이의 납치범 용의자로는 할아버지가 의심을 받는데, 김상경은 진범의 계략으로 누명을 씌운거라도 주장하지만 범인의 목소리와 할아버지의 목소리가 성문감별(목소리 대조분석)에서 일치하게 나옴으로써 결정적 증거가 된다.
김상경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앞에 어리둥절해진다. 이유는 할아버지가 진술한대로 확인해보니 실제로 범인이 창고에서 테이프를 틀었는데 본인이 범인이라면 굳이 그렇게 꾸밀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자기가 진범인데 다른 범인한테 협박을 받은 것처럼 꾸미다가 단서를 흘려서 걸린다?? 치밀한 범인의 성향을 볼 때 생각하기 어려운 시나리오다.
그래서 알던 음향전문가를 찾아가서 엄정화가 가지고 있는 과거 범죄당시의 범인 목소리가 담긴 테이프와 현재 협박전화를 건 범인의 목소리가 정말 같은지 확인해달라고 한다. 그 결과는 15년전 과거사건의 범인과 현재 피해자 할아버지 한철의 목소리가 같고, 현재 범인의 목소리는 과거사건 테이프의 범인 목소리를 다시 재생해서 쓴 것이라는 것이다.
으아니 이게 무슨소리란댜 ㅋㅋㅋ 결론은 한철이 과거사건의 진범인 걸 아는 누군가 그를 엿맥이고 있다는 것이지. 두말할 필요도 없이 그건 엄정화의 짓이었다.
배경이야기는 이렇다. 공소시효가 끝난 직후 엄정화는 포기하지 않고 범인 추리를 계속하는데, 당시 추격전을 할 때 식당에서 범인이 놓고간 우산에서 어느 은행의 우수고객이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은행원을 매수해서 우수고객 명단을 확보한 후 한놈씩 확인을 하다가 마침내 진범의 집을 발견하게 됨.
달력에 공소시효 만료를 하루하루 지워온 흔적을 보고는 범인을 칼로 죽일까 하다가, 찾아온 딸과 손녀딸을 맞이하며 환하게 웃고 있는 그를 보고 피가 거꾸로 솟으며 복수를 다짐하게 된다. 그래서 그의 손녀딸을 납치해놓고 그가 과거에 협박전화했던 목소리를 틀어서 협박전화를 걸고, 돈도 가져오게 심부름시키다 경찰에 체포되게 만듦으로써 그에게 누명을 씌우는 계획이었다.
결국은 김상경도 뉘우침없이 셀프용서를 하는 한철에게 증오를 느껴서 그에게 위장진술을 하게 하고 납치범으로 재판에서 실형을 언도받도록 강요한다. (손녀딸 살려주는 조건으로)
일단 여기서 허술한점은 손녀딸이 증언을 할텐데 어떻게 속일 수가 있겠으며, 그리고 애초에 한철은 자기가 진범이니까 그 사실을 아는 누군가 나를 엿맥이려 한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상대의 목적이 돈이 아니라 복수라는 시점에서 손녀딸을 죽여버릴 것이라고 생각했어야 맞다. 손녀딸을 살리려면 과거의 진범임을 밝혀서 용의자를 축소할 수 있엇을텐데.
딸을 잃은 장면에서 엄정화의 오열씬이 나오겠구나 하고 기대를 했었는데, 기대 이상으로 눈시울 찡해져오는 처절한 통곡연기를 보여주었다. 역시.. 연기파배우.
딸이 죽은것도 고의가 아니라 범인이 죽일 생각이 없었다는 걸 수사로 밝힐 수 있었을텐데 (풀숲에서 꼬맹이가 구른 흔적만 봐도?!) 그래서 공소시효를 기다리며 숨어지내고 양심의 가책을 덜기 위해 꽃을 놓고 가고,,, 그런 범인이 같은 수법으로 다시 저지른거라 생각한 시점에 이미 추리는 틀어진거다.
하지만 여기까지 쓴거는 전부 영화끝나고 곱씹으면서 떠올린거고, 실제로 볼때는 스토리 허점 따위는 들어오지 않는다. 내용 이해하고 따라가기 벅차니 ㅋㅋ
그리고 몰입력이 쩔어서 런닝타임동안 빠져서 보게 됨. 역시 요즘 한국영화의 우수한 수준을 다시 한 번 실감한 몽타주였다. 연기파 배우들이 많아서 시나리오만 좋으면 바로 걸작이 나오는듯. 굿
자기 몽타주를 그린 귀여운 두 사람 ㅋㅋㅋ
써놓고 보니 이번에도 두서없이 글이 엉망인 것 같다. 언제쯤에야 속사포로 한방에 써내려가도 짜임새 갖추고 전달력 있는 글이 될랑가. 에효
댓글